SGR 공법 지반을 천공한 후 지중에 이중관 주입 Rod를 설치한 후 선단 장치를 통해 주입재를 대상지반에 주입하는 2.0 Shot 방식의 저압 침투 주입 공법이다. 시공순서는 계획 심도까지 천공 (∅40.5 또는 ∅72㎜), 천공 완료 후 주입용 이중관 Rod 삽입, 이중관 Rod를 1 Step(30~ 50㎝)씩 상향 인발 하면서 복합 주입 실시한다. 주입 재료는 규산소다 + 시멘트 + SGR약재를 사용한다. 겔 타임은 급결의 경우 6~9초, 완결의 경우 60~90초로 조절한다. 저압 주입 방식이며 차수 및 지반보강을 위해 사용한다. 사질토와 점성토 지반에 사용이 가능하고 소규모 장비운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슬라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저압 침투 주입방식으로 지반을 교란시키지 않고 원지반 조건을 유지시..

광섬유 센서 구조물의 외부 환경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원거리에서 구조물의 상태를 관리하여 구조물의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생명체의 신경망과 같은 새로운 계측 관리 시스템이다. 광섬유 센서의 원리 광섬유는 굵기가 약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석영유리로 만들어져 있는데 광섬유 속으로 들어간 빛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빛의 전반사 원리에 의거해서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며 구성요소인 유리를 매개로 빛과 측정하고자 하는 외부 신호 사이에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빛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물리적 현상에는 굴절률 변화(온도, 압력, 인장력, 화학물질의 농도 등), 편광 상태 변화(전기장, 자기장, 압력 등), 파장에 따른 광손실의 변화(화학물질의 ..

터널 변위 영구 계측기기 종류 터널에서 계측은 인간의 판단력과 계측기기의 수행력을 조합시켜 터널 구조물 자체, 굴착면 주변 지반, 인접 구조물 및 각 지보재의 변화 양상을 측정 거동에 관한 공학적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 즉, 이론과 기법, 통찰과 경험, 측정기술과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터널 건설, 유지관리와 관련된 공학적 문제 해결에 정량적 및 정성적 정보를 얻는다. 터널 계측은 일상 계측, 정밀 계측, 유지관리 계측으로 나뉘며, 변위 영구 계측을 위하여 광섬유 센서, 바셋 시스템, DTL 시스템 등을 이용하고 있다. 계측 항목 일상계측은 공사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시공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갱내 관찰조사, 첨단 침하 측정, 락볼트 인발시험, 내공 변위 측정, 지표침하 측정 등이 있다. 정밀 계..

붕락의 유형과 원인 A 유형 터널 내 붕락이 지표면까지 깔때기형으로 함몰된 형태로 피해규모가 크다. 천단부의 지반상태는 암반이라기보다는 풍화토에 가까운 상태이다. 붕락이 발생한 부분의 상부 지표면은 계곡부에 위치하여 인접지역보다 지반상태가 불량하다. 발파 진동에 의해 파쇄 대면은 지반 결합력 및 전단강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어 붕락된다. B 유형 미끄럼면으로 인하여 터널 내 부등침하가 지표면 균열까지 동반한 형태를 말한다. 경면을 경계로 경면과 모암에서 절리면을 따라서 이완이 발생한다. C 유형 터널 천정부에서 국부적으로 쐐기 형태의 암반 블록이 붕락한 형태를 말한다. 막장면은 상태가 양호하였으나 붕락 구간은 부분적으로 절리 방향이 불리한 상태이다. 이 현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지 못하고 지보 패턴을 전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