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ield 공법 기계굴착공법인 shield는 굴착 중에 막장이 붕괴되지 않고 안정해야 하고 적당히 지보되어 단면이 유지되어야 한다. 막장 안정 공법에 따라 이수식과 토압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시공순서는 막장 안정 유지하면서 굴착한다, 굴착토사를 배출한다, 굴착 중 skin plate로 토압과 수압 등을 지지한다, 세그먼트 조립으로 지보를 설치한다, 세그먼트 배면 그라우팅을 시공한다. 이수식 Shield TBM 공법 챔버 내에 이수의 가압순환으로 막장을 유지하면서 커터헤드로 굴착한다. 이수를 순환시켜서 굴착토를 배출한다. 점성토 지반에서는 이수 압이 적정 이하면 heaving이 발생하고 지반침하가 생긴다. 사질토 지반에서는 투수계수 큰 지반 시 이수 유출로 막장 붕괴 위험이 있다. 사력토 지반에서는 큰..

터널 시공법은 크게 발파굴착공법과 기계굴착공법으로 나누어진다. 발파굴착공법에는 NATM, NMT 공법이 있고, 기계굴착공법에는 TBM, Shield, Road header, Raise bore machine, Raise climber 공법이 있다. 기계굴착공법 TBM공법의 특징 대형 원형 보링 기계를 사용하여 터널 전단면을 동시에 굴착하고 숏크리트를 타설 하는 기계굴착공법이다. 전단면 방식과 확대기 (Tunnel Boring Enlarging Machine, 직경 8m 이상 대단면 터널에 사용한다) 방식이 있다. 기계식 굴착이므로 모암의 이완이 적고 여굴 발생량이 적다. 굴착 단면이 작은 수로 터널 등에 주로 사용한다. 여굴에 의한 굴착면의 요철에 작용하는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라이닝 작업량 감소..

숏크리트 잔류 강도 등급의 뜻 숏크리트의 휨 인성 기준을 규정할 때 유럽 통합규격에서 구분하는 2가지 방법 중 하나인 빔 시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지는 숏크리트 휨 인성 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응력 범위와 처짐량을 통하여 구해진다. 숏크리트 품질기준 강도기준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숏크리트 강도는 일축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고 있다. 28일 압축강도는 20.6 Mpa이다. 유럽 통합기준에서는 숏크리트 압축강도를 원통형이나 이방형 공시체에 의한 실내시험과 현장 강도기준 시험으로 구분하여 등급화하고 있다. 휨 인성 기준은 국내에서는 휨 인성 기준을 등가 휨강도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28일 등가 휨강도는 3.06 MPa이다. 유럽 통합기준에서는 빔 시험에 의한 잔류 강도 등급과 플레이트 ..

단층의 생성 원인 및 특성 불연속면이 습곡, 융기, 침강 등의 지각변동에 의해 현저하게 움직여서 발생한다. 절리면에 비해 연장성이 크다. 단층을 따라서 풍화, 파쇄가 심하다. 단층면을 따라서 단층활동면, 단층 점토, 단층 각력암, 단층대(파쇄대)등이 나타난다. 투수층 형성 가능성이 크다. 화성암, 퇴적암에 있으나 특히 변성암에 많다. 지진 발생 많은 곳에 분포된다. 정단층, 역단층, 수평단층 등이 있다. 단층이 터널에 미치는 영향 시공 시 파쇄대의 붕락, 지하수 유입으로 터널 붕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붕괴 형태는 파쇄대 크기, 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시공 후 주변암 반보다 전단강도 적고, 투수성 큼으로 터널 지보대에 큰 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붕괴는 아니더라도 라이닝의 균열 등 내구성 저하가 크게 된..